의병 과 비슷한 활동 성격을 띠지만 한반도에서 일제를. 홍범도 장군을 주축으로 하는 대한독립군, 그리고 한국광복군 의 전신인 ' 한국독립당 당군 '. 러시아 (소련)로 이동했으나 **자유시 참변 (1921)**으로 큰 피해를 입고 해체됨.
1920년 청산리 전투 이후 북로 군정서를 포함한 여러 독립군 부대가 연합하여 만들어짐. 한국의 독립군 은 하나의 단체라기보다는 일본 제국 의 식민지 통치 에 저항하거나 교전한 여러 준군사조직 의 통칭이다. 지청천 이 중심이 되어 지린성, 헤이룽장성 등 북만주에서 활동하던 독립군을 말한다.
홍범도가 이끄는 대한독립군 청산리 : 익히 교과서에 수록되어 있는 단체들도 있으나 사실.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독립군 (獨立軍)은 한국사 에서 한국이 일제강점기 동안 조선의 독립을 위해 활동하였던 무장 단체를 총칭하여 가리키는 단어이다.
조선혁명군과 한국독립군은 1930년대 만주 지역에서 활동한 대표적인 독립군 조직으로, 일제의 식민 통치에 저항하며 무장 투쟁을 전개하였습니다.